세부 원칙 1: 체계적인 수비 조직
수비 국면의 목적은 상대가 쉽게 공격하지 못하게 견고한 수비 조직을 유지하고 다시 공을 탈취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먼저 체계적으로 수비 조직을 갖추어 상대의 플레이를 유도하여 예측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수비 조직을 위해 지켜야 할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콤팩트한 라인(Line)과 레인(Lane) 간격 및 공 중심의 이동
라인 및 레인의 간격을 콤팩트하게 운영하며 공 중심으로 이동한다. 상대를 향한 압박, 공간의 압박 그리고 궁극적으로 골대를 지키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② 한쪽 방향으로 유도
상대의 패스 방향을 우리가 결정함으로써 다음 패스 경로에 대한 예 측을 쉽게 할 수 있다.
③ 페널티 박스 내 대인 마크
위험 지역에서는 공 중심의 수비보다 상대 선수를 직접 대인 마크하 여 상대의 득점 기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세부 원칙 2: 공을 탈취하기 위한 압박
수비 조직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기회가 왔을 때 공 탈취하기 위해 압박을 해야 합니다. 공을 탈취하기 위해 압박을 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압박 타이밍 결정
동료들과 소통하고 상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언제’, ‘어떻게’ 압박 할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팀 단위의 압박이 가 능하다.
② 압박 및 패스 길 차단
상대 선수의 패스 가능성을 제한하고 실수를 유발하여 공을 탈취할 수 있다.
③ 압박 시 생긴 수비 공간 커버
압박하는 선수가 공격적으로 전진하여 발생하는 공간을 동료 선수 가 커버하여 수비 조직을 유지한다. 이를 통해 상대에게 공간을 제 공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부 원칙 3: 공 탈취
수비 국면의 최종 목적은 공을 탈취하는 것입니다. 공을 탈취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인터셉트를 위한 예측
패스 경로 또는 첫 터치 방향 등을 예측하여 공을 탈취할 수 있다.
② 상대와의 거리 조절
상대와의 거리가 멀다면 인터셉트를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적 정한 거리를 조절해야 한다.
③ 적절한 타이밍에 실행
상대가 패스하는 순간, 공을 첫 터치 하는 순간 등에 볼을 인터셉트 하거나 태클을 실행한다. 때로는 콤팩트한 수비 라인에서 벗어나 강 하게 전진하며 공을 가로챌 수 있으며, 특히 라인과 라인 사이 공간 에서 상대가 공을 받는 순간 적극적으로 나올 수 있다.
'축구 > 축구 국가대표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격 전환 국면: 정비되지 않은 상대 수비 조직 (0) | 2024.08.15 |
---|---|
수비 전환 국면: 정비되지 않은 우리 수비 조직 (0) | 2024.08.15 |
MIK - 대표팀 경쟁력 강화전략 보고서 (0) | 2024.08.15 |
공격 국면: 정비된 상대 수비 조직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