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대표팀 경쟁력 강화전략 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개요
한국 축구는 현재 전례 없는 수준의 선수들과 그들의 활약을 즐기고 있습니다. 선수들은 세계로 뻗어 나가고 더 많은 팬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국 축구 미래에 대한 기대는 그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그리고 대한축구협회에는, 그것이 어떠한 수준이든, 기대와 요구에 부응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음을 위한 지금의 준비
세계 무대 속 ‘태극전사’들의 활약은 현재에만 그쳐서는 안됩니다. 대한축구협회의 장기적인 계획과 뚜렷한 철학 속에
서 일관성 있고, 지속적인 성장이 장려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미래 태극전사들의 탄생이 우연적인 것이 아니라, 제도와 지원으로부터 비롯된 필연적인 것이어야 합니다.
세계의 흐름은 우리의 방식대로
우리에게는 우리만의 강점과 약점이 있기에, 축구 선진국의 사례를 무차별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마지막 결과물은 결국 ‘우리의 것’이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문화와 각종 상품 등 세계속에 우뚝 선 ‘Made In Korea’ 들은 몇 가지 특성을 보장합니다. 신뢰성, 효율성, 진정성 등이 좋은 예시입니다.
우리는 대한민국 축구 선수가 그러한 특성을 실현하는 선수 개인이자 팀의 자원, 더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 거
듭나길 희망합니다.
문선화와 선언
그 희망을 현실로 이루기 위해 대한축구협회는 향후 기술 계획 수립 과정에 나침반 역할을 수행해 줄 ‘Made In
Korea’(대표팀 경쟁력 강화 전략 보고서)를 명문화하였습니다.
어쩌면 당연한 얘기일 수 있고, 대단히 특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de In Korea’의 문서화와 선언은
나름의 의미를 갖습니다.
한국 축구를 구성하는 모든 이들에게 방향을 공유하고 동참을 제안하는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Made In Korea’(대표팀 경쟁력 강화 전략 보고서)가 대한축구협회뿐만 아니라 한국 축구를 구성하는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가야 할 길을 비추어주고 동시에 서로를 돌아볼 수 있는 기준점의 역할을 해줄 것이라 기대합니다.
지향점
세계 축구 주도
- 세계 주도를 위한 시스템 개선
- 선수 중심 주변 환경 강화
우수한 개인 육성
- 세계수준을 목표로 우수 재능 발굴 및 지원
- 선수 육성 및 지도자 패러다임 전환
사회적 롤모델 양성
- 축구 이상의 영감을 주고 귀감이 되는 사회 구성원 육성
- 모든 축구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사명감 제고
기술철학
현재에 대한 진단
지속성 및 방향성 부재 - 정책 및 제도의 일관성
특징의 실종 - 개인의 평균치는 상승했으나 강점의 실종
한국적 가치 약화 - 투지, 끈기, 예의, 겸손, 공동체
우리는 그간 대한민국 축구를 구성하는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한국 축구의 현재에 대한 다양한 진단과 제언을 받았습니다. 많은 의견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여러 진단을 관통하는 두 가지 지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나는 일관성의 부재, 그리고 다른 하나는 정체성의 약화입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방향성 제시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다다랐습니다.
제시되는 방향성은 충분한 고민과 과정을 토대로 해야 하며, 긴 시간을 견뎌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방향성은 우리의 시간이 흐르고 축구의 모습이 바뀌어도 변함없는 가치를 기초로 해야 합니다. 그 가치는 정책과 제도의 방향성과 연속성을 보장해야합니다.
각자 위치에 따라 생각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우리의 축구’가 가지 않아야 하는 방향은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이제 한국축구 기술철학 정립을 통해 모두의 시선을 한 방향으로 돌리고, 일관성 있는 기술정책으로 정진해 나가며, 우리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때입니다.
우리의 정체성
대한민국 대표팀과 대표 선수의 정체성은 대한축구협회가 대표팀 경쟁력 강화를 도모함에 있어 가치를 결정하고 이끌어 갈 철학의 기반이 됩니다. 그렇기에 우리의 역사, 문화, 가치를 이해하고 무엇이 우리나라를 특별하게 만드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선수들의 어떤 점이 차별화되어 있는지 되돌아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대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우리만의 모습을 찾는 것은 아주 중요한 기초 작업입니다.
대표팀과 대표선수를 묘사할 때, 세계에 널리 알려진, 그리고 우리에게도 가장 친숙한 단어는 ‘태극전사’입니다. 명확히 하나로 정의할 수 없지만, 우리 모두에게 분명히 각인되어 있는 무언가입니다. 우리가 공유하는 믿음이고 개념이며 태도입니다. 이러한 것은 단기간 내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과 과정에 걸쳐 다듬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분명 존재하고 공유되는 가치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화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태극전사'가 전하는 다양한 의미를 관통하는 특성 3가지를 정의했습니다.
한구축구 기술철학
빠르고 FAST
빠르다는 것은 물리적인 속도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실천하는 행동력, 생각의 민첩성, 변화에 따른 반응, 회복에 대한 탄력성 등 대한민국과 태극전사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포함합니다.
용맹하게 FEARLESS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이 용맹함을 표현하는 것은 아닙니다. 동료와 강한 연대를 이루고, 포기하지 않는 정신, 경합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등 태극전사가 갖춰야 할 기백을 의미합니다.
주도하는 FOCUSED
진정으로 주도하는 모습은 우리가 사전에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이행할 때 나타납니다. 스스로를 믿고, 각자의 역할과 목적이 명확할 때 우리는 우리의 방식대로 경기를 주도할 수 있습니다.
한국축구 기술철학의 최종 목적지는 단순히 어느 수치의 달성 여부에 있지 않습니다. 어떠한 특정 시점이나 어느 한 결승점을 향해 달려가통과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지 않습니다.
시간과 장소를 막론하고 우리의 축구를 보는 그 누군가가 ‘Made in Korea’ 경기를 통해 ‘빠르고, 용맹하게, 주도하는’ 인상을 느끼는 순간과 그리고 그 순간들이 모여 흐름으로 발전하는 과정. 기술철학의 최종목적지는 그 사이사이에 존재합니다.
우리는 ‘빠르고, 용맹하게, 주도하는’ 축구를 구현하고자 하며, 그러한 축구를 구현할 수 있는 선수를 육성하고자 합니다.
KFA 게임 모델
KFA 게임모델 정립의 필요성
우리의 축구로 세계를 주도하기 위한 첫 번째 접근으로, 우리는 현대 축구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우리와 세계적 수준과의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고자 했습니다. ‘‘우리가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라는 아주 근본적인 질문이었습니다.
모두가 눈으로 경험하고 있듯, 현대 축구에서는 뛰어난 기술적 및 체력적 능력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미래 선수들이 이런 흐름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이를 인지하고 노력하는 게 필요합니다(1,2).
또한, 연령별 대표팀부터 성인 대표팀에 이르기까지, 각종 경기 및 대회 비교 분석과 축구 전문가들의 진단을 통해 우리 선수들의 ‘창의성’과 ‘전술 응용 능력’의 함양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명확한 ‘방향성’ 설정이 선결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3).
축구 코칭의 세계에서 ‘게임 모델’ 이라는 용어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어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우리가 한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기 위해서는 ‘KFA 게임 모델’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합니다(4).
‘KFA 게임모델’은 하나의 경기에 대한 접근법 뿐만 아니라, 미래 태극전사의 발굴과 육성 등을 포함하며 우리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프레임워크입니다.
또한, 향후에도 한국 축구의 강점과 특성, 세계와의 격차 그리고 미래 트렌드 등을 분석하여 지속적인 ‘게임 모델’의 발전을 주도해 나갈 예정입니다.
관련 자료
1. Allen, T., Taberner, M., Zhilkin, M., & Rhodes, D. (2023). Running more than before? The evolution of running load demands in the English Premier Leagu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 Coaching.
2. Lago-Penas, C., Lorenzo-Martinez, M., Lopez-Del Campo, R., Resta, R., & Rey, E. (2023). Evolution of physical and technical parameters in the Spanish LaLiga 2012-2019. Science and Medicine in Football.
3. High Performance Group (2023). Modern Football & Differences between World and Korea. KFA High Performance Exchange 2023.
4. Plaskias, S. (2023).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game model in soccer: definition, misconceptions, and practical significance. TRENDS in Sport Sciences.
KFA 게임모델의 구조
KFA 게임모델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부분은 ‘게임 주요 원칙’과 ‘세부 원칙’, ‘게임 컨셉’ 및 ‘게임 플랜’, ‘코칭 가이드라인’ 및 ‘훈련 가이드라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축구 기술철학을 시작으로 게임 주요 원칙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게임 국면에 따른 세부 원칙이 세워졌습니다.
지도자는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게임 컨셉과 플랜을 수립할 수 있으며, 코칭 및 훈련 가이드라인을 통해 선수들에게 질 높은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지도자가 수립한 게임 컨셉과 플랜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게임 주요 및 세부 원칙
게임 주요 원칙 및 세부 원칙의 필요성
축구는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인 경기입니다. 경기 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그 패턴을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로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이러한 다이나믹성(Dynamic) 때문에 축구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예상하여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예상하고 통제하려는 시도나 계획보다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방향성을 제시 해줄 수 있는 약속된 원칙이 필요합니다.
또한, 축구에서 문제 해결은 팀으로서 접근해야 합니다. 경기 중 상황 해결을 위해 일치된 방향의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모든 선수가 공통된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즉, 팀으로서 모든 선수가 확신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칙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원칙은 특정 포메이션이나 플레잉 스타일을 지칭하지는 않습니다. 이것은 선수와 지도자를 틀에 가두는 것이 아닌 선수의 창의적인 플레이와 지도자의 개인 철학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연함을 내포하고있습니다.
게임 주요 원칙
- 축구 경기의 본질적인 특성과 연결하여 선수가 행해야 할 근본적인 행동 수칙입니다.
- 이는 경기의 4가지 국면을 모두 포괄하며 세부 원칙의 근간이 됩니다.
- 유소년부터 성인, 그리고 모든 포메이션과 전술에 일반적으로 통용됩니다.
- KFA 기술철학에 근거합니다.
① 우리는 능동적인 축구를 구사한다.
상대의 계획에 끌려다니는 것이 아닌 경기 전 계획한 전략과 전술을 보여준다.
② 우리는 다양한 포메이션으로 축구를 한다.
지도자의 전략과 전술, 선수들의 특징 그리고 상대팀에 따라 포메이션을 결 하기 때문이다.
③ 우리는 공격 시 수적 우위를 점하고, 수비 시 수적 열세를 피한다.
수적 우위를 점함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적 열세를 피함으로써 상대에게 유리한 공간을 막을 수 있다.
④ 우리는 공간, 시간, 상대의 압박을 이겨낸다.
공격과 수비 시 강한 압박 상황 속에서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낸다.
⑤ 우리는 1대1 상황을 반드시 이긴다.
1대1 돌파는 가장 강력한 공격 수단이며 1대1 수비에서 공을 탈취하는 것은 팀 전체를 돕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⑥ 우리는 주변을 지속적으로 살핀다
시각 정보의 끊임없는 수집을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대보다 먼저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⑦ 우리는 경기장 안과 밖에서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한다.
팀 내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복잡한 경기장 내에서 정확하고 빠른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경기장 밖에서의 의사소통은 경기장에서의 소통에 영향을 미친다.
⑧ 우리는 모든 상황에서 침착함과 냉정함을 유지한다.
경기 안팎의 상황에 상관없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기 위해 흔들리지 않는 강한 정신력을 가진다.
게임 세부 원칙
- 경기 중 발생하는 4가지 국면 상황에서의 행동 기본 노선입니다.
- 경기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최선의 해결책을 찾도록 방향성을 제시입니다.
- 경기 중 모든 상황에서 상대의 실수나 우연을 기대하는 것이 아닌 우리만의 원칙으로 경기를 지배하기 위한 것입니다.
- 이것은 KFA 기술철학과 게임 주요 원칙에 근거합니다.
공격 (IN POSSESSION)
● 골키퍼를 포함한 모든 선수가 참여
● 직선적 플레이
● 공격 기회를 만들며 전진(빌드업)
● 공간 창출 및 이용 (넓고 & 길게)
● 마무리
공격 전환 - 수비에서 공격으로 (ATTACKING TRANSITION)
● 볼 재 탈취 시 즉각적인 카운터 어택 (가능할 시)
● 볼 간수 및 성공적인 첫 패스
● 넓은 공간 활용 (반대 전환)
수비 전환 - 공격에서 수비로 (DEFENSIVE TRANSITION)
● 빠른 반응 및 즉각적인 압박 또는 리커버리
● 최종 수비 라인 또는 수비-미들 라인 재정비
수비 (OUT OF POSSESSION)
● 골키퍼를 포함한 모든 선수가 참여
● 강한 압박 또는 지연
● 볼 탈취
● 공격-미들-수비 간격 유지 및 커버/밸런스
● 선수 사이 패스 방어
2 수비 전환 국면: 정비되지 않은 우리 수비 조직 (링크 참고)
4 공격 전환 국면: 정비되지 않은 상대 수비 조직 (링크 참고)
게임 컨셉 및 플랜
게임 컨셉 및 게임 플랜이란?
우리는 ‘빠르고, 용맹하게, 주도하는’ 모습을 경기장에서 보여주기 위해 앞서 제시된 게임 주요 원칙 및 세부 원칙을 실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경기 준비가 게임 컨셉 및 게임 플랜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게임 컨셉 및 게임 플랜은 게임 원칙을 기본으로 지도자의 철학, 우리 선수와 상대 팀의 특징, 팀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지도자에 의해 완성됩니다.
‘게임 컨셉’은 경기에 대한 큰 전략을 의미하며, ‘게임 플랜’은 그 게임 컨셉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역할의 부여와 연관이 있습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포메이션의 장단점과 해당 포메이션에서의 구체화된 선수의 역할 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게임 컨셉과 게임 플랜 수립을 위한 예시
질문&상황 예시 | 게임 컨셉 예시 | 게임 플랜 예시 |
경기 시작은 어떤 포메이션을 기초로 할 것인가? |
1-3-5-2를 활용한 미드필드 지역 장악 | 수비 시 1-5-4-1로 변형하여 2명의 스트라이커 중 A 선수가 미드필드 수비라인으로 내려온다. |
수비 시 1-5-4-1로 변형하여 2명의 스트라이커 중 A 선수가 미드필드 수비라인으로 내려온다. | 측면 활용 다이렉트한 전개 | A선수는 하프라인 이하로 내려오지 않으며, 소유권 탈취 시 측면으로 움직이고 00명의 선수만으로 공격을 마무리한다. |
상대는 공격시 수비지역에서의 빌드업보다 롱볼에 의한 공격을 자주 시도한다. | 전방 압박보다 1-4-4-2를 통하여 세컨볼과 수비라인 뒷공간 커버 | 중앙 미드필더 두명은 상대킥시 빠르게 수비 라인으로 다가와 세컨볼을 대비한다. |
코칭 가이드라인과 훈련 가이드라인
게임 주요 원칙과 세부 원칙을 기반으로 각 지도자에 의해 완성된 게임 컨셉 및 플랜을 선수들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코칭법과 훈련 구성은 게임 컨셉 및 플랜을 구체화하고 이를 선수들에게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코칭 가이드라인
훈련 및 경기 중 지도자가 ‘어떠한 마인드와 방법으로 코칭을 하는지’ 는 매우 중요합니다. 선수들을 발전시키는 것은 훈련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선수를 대하는 지도자의 태도 및 언어 선택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코칭을 위해 7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이는 선수들의 행동 변화를 연구하는 최신 신경과학 분야에 기반합니다. 1번부터 5번까지는 유소년 선수들에게 특히 중요시되며 7가지 모두 성인 선수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① 충분한 시간을 두고 선수의 현재 실력과 미래의 잠재력을 판단한다.
단 몇 번의 훈련과 경기로 선수의 모든 것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 특히, 어린 선수일수록 변동은 크다.
② 선수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경기에서 좋은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훈련 시 문제해결을 선수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것은 창의력과 연관되며 훈련 가이드라인에서 구체화 될 수 있다.
③ 실수는 성장을 위한 촉진제이다.
예측이 틀렸을 때 선수는 기억하고 성장한다. 발전을 위해 실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④ 어린 선수에게는 단점을 고쳐주며 성인 선수에게는 장점을 극대화한다.
가능성이 열려 있는 어린 선수에게는 부족한 것을 수정하고 자신의 특징이 뚜렷해진 성인 선수에게는 장점을 극대화함으로써 단점을 가리는 것이 좋은 전략이다.
⑤ 특정 자세를 가르치지 않는다.
변화하는 환경에서 한가지 자세로는 기술을 발현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기술 훈련 시 선수의 자세에 대한 피드백 (내적 신호)보다 움직임에 대한 결과 또는 환경에 대한 피드백(외적 신호)을 하는 것이 유연한 기술 발현을 위해 효과적이다.
⑥ 구체적이고 목적이 분명한 언어를 사용한다.
추상적인 단어 선택보다 명확한 단어 선택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세밀하게 해라” 대신에 “공을 한번 컨트롤하고 패스해도 돼”, “집중해” 대신에 “머리 들고 주위를 보고 패스해”
⑦ 코칭 스태프 간 통일된 코칭 포인트와 역할 분담을 구체화한다.
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코칭 스태프 간 언어적 통일을 합의하고 훈련 중 누가 어느 위치에서 코칭할 것인지, 누가 무엇을 코칭할 것인지를 미리 정하는 것은 훈련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훈련 가이드라인
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코칭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방법뿐만 아니라, 어떤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또한 이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8가지 훈련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이는 선수들의 창의력과 실전에서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연구하는 최신 신경과학 분야에 기반합니다. 1번부터 5번까지는 유소년 선수들에게 특히 중요시되며 8가지 모두 성인 선수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① 경기 형태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라.
경기 형태는 선수들이 다양한 기술적, 전술적 행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창의력을 촉진하며 더 큰 동기부여를 자극한다.
② 반복 없는 반복 훈련을 하라.
하나의 훈련 목표를 두고 다양한 훈련을 하는 것은 훈련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③ 선수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훈련을 구성하라.
훈련 시 선수들에게 인지적, 신체적으로 불편하게 해야 한다. 훈련이 익숙해지는 순간 인지와 신체를 향한 자극은 감소한다. 익숙한 훈련보다 낯선 훈련은 선수들의 발전을 위한 촉매제이다.
④ 훈련의 구성 요소를 활용해 훈련의 목표를 달성하라.
운동장 규격, 선수, 훈련 장비, 규칙 등의 활용은 지도자의 언어적 지시보다 더 효과적으로 선수들의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은 제약주도 접근법 (Constraint-Led Approach)과 연관이 된다.
⑤ 우선적 경험 방법과 지도자 중심의 전달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라.
코칭 포인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다. 훈련 초반 바로 경기 형태를 통하여 선수 스스로 코칭 포인트를 경험하게 하는 방법 (귀납식: PPP-Model)과 지도자의 전달에 의해 코칭 포인트를 알려준 후 이를 위한 연습 후 경기를 하는 방법(연역식)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은 훈련의 목표, 선수 구성 및 수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어린 선수일수록 귀납식 방법이 추천된다.
⑥ 포지션별 훈련을 구성하라.
팀 훈련을 넘어서 포지션별 개인화된 훈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선수 개인의 발전을 더 크게 도모할 수 있다.
⑦ 실전 경기와 비슷한 상황과 템포로 훈련하라.
훈련의 목적은 실전 경기를 잘하기 위함이다. 훈련 때 100%로 하지 않으면 실전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⑧ 훈련 시간의 모든 순간을 낭비하지 마라.
훈련 시간은 선수들이 발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이다. 기다리는 시간, 장비를 세팅하는 시간 등으로 인해 낭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현장 적용: 패러다임의 전환
대표팀 경쟁력 강화 전략에서 ‘한국축구 기술철학’의 수립은 현장에 적용하여 경기장에서 구현될 때 비로소 그 의미를 갖습니다. 이를 위해 KFA는 정책과 제도 개선에 있어 조금 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던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대표팀 경쟁력 강화 전략의 지향점인 세계 축구 주도, 우수한 개인 발굴 그리고 사회적 롤모델 육성을 도모합니다.
영향과 평가
각 급별 대표팀에 소집되는 선수들은 1년 중 대부분의 시간을 소속팀에서 보내게 됩니다. 자연스레 대표팀의 훈련보다는 소속팀의 훈련에 대한 노출이 월등히 많습니다. 사실 이러한 현상은 아주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협회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연령별 대표팀에 대한 접근 방식을 현실에 맞추어 운영하고자 합니다. 협회가 통제할 수 있
는 것과 통제할 수 없는 것을 구분하여 지원 역량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팀의 결과를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장소, 시간, 온도, 습도, 상대, 컨디션, 부상, 기분, 동기, 전술, 실수, 운 등
우리 통제 범위를 벗어난 셀 수 없이 많은 수의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선수 개인의 성장은 훨씬 우리의 통제 범위에 들어와 있습니다.
협회가 선수를 직접적으로 육성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선수는 평가와 지원의 대상으로 전환하고, 선수를 중심으로 그 주
변을 둘러싼 변수에 대한 영향을 장기적으로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자 합니다.
협회에게 허용되는 선수와의 짧은 훈련 및 대회 기간에 변화를 만들려 노력하기보다 선수를 포함한 선수 주변 환경의 질적 향상을 통해 발전을 통해, 선수만의 성장이 아닌 선수와 선수 위주의 모든 이해관계자의 성장을 추구합니다.
우수한 재능 발굴 선수 연령별 접근방식의 변화
각 연령별 그룹의 명확한 운영 기준
개인 재능의 발전 단계를 고려하여 연령별 그룹의 우선 목표를 설정합니다. 선수 생애주기와 함께 국내 현실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협회 지원의 초점을 맞춥니다.
각 위원회 역할 및 연령별 대표팀 운영 목표 설정
기술발전위원회
세계 수준의 선수 육성을 위한
1) 선수 훈련 및 지도자 교육 평가
2) 한국 vs. 세계 수준 비교 중심 육성 정책 중심
전략강화위원회
세계 축구 주도를 위한
1) 선수 연계성을 통한 인재 관리 평가
2) 지도자 연속성을 통한 강화 정책 중심
각 위원회 역할 및 연령별 대표팀 운영 목표 설정
남녀성인 | ||||
U23 | 결과 | |||
U20 | 강화 | ▶세계 주도 ▶WC 우승 |
||
U17 | 도약 |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해외 진출 |
● 모든 경기와 대회에 대한 결과 ● 하이 퍼포먼스 그룹 |
|
~U14 | 전환 | ▶해외 진출 ▶‘A’팀 진출 |
● 강점이 특화된 성인 선수 ● 국제대회 경험 / 하이 퍼포먼스 그룹 |
|
발굴 | ▶세계 수준 선수 ▶세계 수준 경험 |
● 해외 리그 진출 발판 ● 대표팀 연속성 / 제도적인 대표선수 풀 관리 |
||
▶골든에이지 ▶PEP Program |
● 성인 선수로의 전환 ● 싱글에이지 대표팀 운영 / 세계 수준 경쟁 경험 |
|||
● 개인 재능의 발굴과 모니터링 ● 전임지도자 지속 피드백 / 국내 엘리트 경쟁 경험 |
01. 발굴 단계(~U14)
최우선 목표는 ‘개인 재능’의 발굴과 모니터링입니다. 골든에이지 사업의 대상 연령대로, 각 지역을 담당하는 KFA 전임지도자가 집중적으로 관찰 및 관리합니다. 현장의 지도자들이 육성하는 선수들의 성장 추이를 관찰하고, 골든에이지 소집을 통해 선수 개인에게 심화된 경쟁 기회를 제공하며, 현재 진단과 개선점 등을 선수 및 소속 지도자와 소통합니다. 이를 통해 선수들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와 동기를 부여합니다. 선수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에 초점을 맞춥니다.
02.전환 단계(U15~U17)
공식 경기 출전이 집중되는 연령대인 U15를 시작으로 U17 월드컵까지의 기간으로 유소년 선수에서 성인 선수로의 전환을 맞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싱글에이지 대표팀은 철저히 개인의 성장과 특성 발현에 집중합니다. 팀의 가능성보다 개인의 가능성에 집중합니다. 대회에서 높은 곳을 향하기 위한 팀 운영과 지도가 아니라, 개개인의 특성과 역량을 세계 무대와 견주어 보는 운영을 우선으로 합니다. 선수 개개인이 스스로 세계 수준에서 통용되는 장점이 무엇인지, 발전시켜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직접 체험하고 다음 단계에 대한 분명한 목표 의식을 갖게 합니다.
03.도약 단계(U18~U20)
공식 경기 출전이 집중되는 연령대인 U18을 시작으로 U20 월드컵까지의 기간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중점을 두었던 개인 역량 뿐 만 아니라 팀에서의 역할 수행도 평가합니다. 개인 재능의 단계에서 팀의 자원으로 거듭나야 하는 과정입니다. 개인 위주의 팀 운영이던 발굴 단계와 전환 단계를 지나 팀 구성원으로서의 퍼포먼스 또한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됩니다. 전환 단계를 거쳐 도약 단계에 진입한 선수들에 대해 기술 정책에 기반한 지원을 통해 해외 리그 진출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 이 단계의 선수들이 성인대표팀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합니다.
04.강화 단계(U21~U23)
성인 무대에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팀에서의 역할 수행이 원활한 수준의 선수들을 위한 단계입니다. 최우선 지향점은 강점이 특화된, 완성된 성인 선수의 배출입니다. 올림픽 대표팀과 아시안게임 대표팀으로 분류되며, 성인 대표팀과 그 선수풀을 공유합니다. 개인의 성장, 팀 역할의 수행 능력을 넘어 팀 성적이 우선순위에 있으며 가급적 많은 국제 경험을 통해 대표팀과 대표선수 스스로를 알려야 하는 단계입니다.
05.결과 단계(U24~)
남녀 성인 대표팀, 즉 완성된 태극전사의 모습을 보이는 단계입니다. 성인 대표팀은 모든 훈련, 모든 경기, 모든 대회에서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세계 무대에 대한민국 축구대표팀 및 대표선수들의 우수성을 알리고, 그들이 거쳐온 발굴-전환-도약-강화 단계의 선수들에게 모범이 되며, 영감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선수로서가 아닌 축구 산업을 이루는 이해관계자, 그리고 사회적인 롤모델로서 역할과 의무를 인지합니다.
세계 축구 주도 선수 주변의 전문성 강화
선수 육성에서 세대 육성으로
영향과 평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기초로, 직접적인 육성에서 더 나
아가 주변 환경 강화를 위해 제도를 개선합니다. 선수 주변의 시스
템, 지도자, 대표팀 운영 개선을 통해 한 명의 재능이 아닌 한 세대의
재능 육성을 도모합니다.
시스템 개선 - 싱글에이지 대표팀 & 연령별 그룹 운영
선수 주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각 연령별 대표팀 운영 방식을 더욱 체계화합니다. 세계 대회 참가 연령 중심 운영에서 연령별 대표팀을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방식인 ‘싱글에이지’ 운영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또한, 각 단계 별 선수 관리 및 연령별 대표팀의 운영 핵심 목표 달성을 위해 운영되는 방식과 평가되는 방식 또한 변화를 거치게 됩니다.
U17 대표팀의 코칭스태프는 U15부터 U17까지 3개의 연령을 담당하는 역할과 책임을 갖게 됩니다. 감독은 해당 연령별 그룹 전체를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하며, 코치들은 각각의 연령을 집중 관리하는 연령별 담당 지도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각 연령은 별도로 훈련및 대회 참가를 진행하며, 이를 통해 수집된 모든 정보는 해당 연령별 그룹 코칭스태프 간 교류 후 기술본부에 보고하여 기술정책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역할 증대 - 전임강사 및 전임지도자 역할 제고
KFA 전임지도자가 ‘감독’의 역할에 국한되지 않고 ‘지도자’, ‘강사’ 그리고 ‘관리자’로 거듭납니다. KFA 전임지도자는 정책 구조상 현재 국내 최고 수준의 유소년 선수를 가장 많이 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 지도자와도 끊임없이 소통해야 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선수들에게는 동기 부여와 개선점 그리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해 주는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현장의 지도자들에게는 함께 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소통하는 ‘강사’의 역할, 그리고 담당하는 연령대의 모든 정보를 관리하고 더 나아가 함께 공유하여 발전 방안을 찾는 ‘관리자’의 역할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더불어, 전임지도자는 현장과의 교감을 통해 다양한 정책적 피드백을 수렴하고, 전임강사와 소통해 세계적 선수를 육성하기 위한 기술발전 정책을 계속 보완해 나갈 것 입니다.
역량 강화 - 하이 퍼포먼스 역량 강화
우수한 선수는 지도자에 의해 발굴되고, 지도자에 의해 육성되며, 지도자에 의해 발현됩니다. 하지만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 과정에는 지도자와 같은 선상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관계자들이 존재하며, 선수들에 대한 지대한 영향력을 가집니다. 결국 경쟁력 강화는 지도자 역량만이 아닌 선수를 둘러싼 전반적 환경 개선, 즉 ‘하이퍼포먼스’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하이 퍼포먼스 그룹 설립과 단계적 확장을 통해 유소년 개인 재능의 발굴부터 성인 대표팀의 전술적 지원까지 엘리트 축구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지원을 도모합니다. 선수가 최선의 경기력을 선보이고, 팀이 최선의 성과를 내는 데 필요한 모든 연구와 분석, 지원과 적용을 제도화합니다.
사회적 롤모텔 육성-대표팀 구성원의 가치 제고
축구를 넘어 사회의 모범이 되는
국가대표의 축구는 우리에게 하나의 경기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대표팀의 경기는 우리 모두의 것이 되었습니다. 국가대표 축구가 사회에 가지는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축구를 구성하는 모든이에게 더 높은 수준의 사명감과 책임감이 요구됩니다.
축구계 구성원 모두
경기장 '밖'
● 선수를 지지하는 지원자가 된다.
● 선수들의 감정을 헤아리는 보호자가 된다.
● 선수에게 긍정적인 용기를 준다.
● 선수의 성장을 위해 응원하며 기다린다.
● 언행으로 선수의 본보기가 된다.
● 장기적 선수 성장 과정을 배운다.
● 지도자를 믿고 신뢰하며 대화한다.
경기장 '안'
● ‘페어플레이’를 몸소 실천한다.
● 긍정적 응원 문화를 조성한다.
● 안전한 경기 환경을 조성한다.
● 부정적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결과보다 성장을 지켜본다.
● 모든 선수에게 박수를 쳐준다.
● 심판의 판정을 존중한다.
선수
팀
우리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축구 선수로서 가족과 동료를 신뢰하고 나라를 위해 희생하며 협력한다.
정신
우리는 투혼의 가치를 아는 대표 선수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동료를 배려하며 끝까지 싸운다.
개인
나는 세계 무대를 향한 열정을 가지고 운동장 안과 밖에서 성실한 모습으로 소속팀과 대표팀에 모범이 된다.
경기장 '안'
나는
● 언제, 어디서나 최선을 다한다.
● 정직하게 플레이한다.
● 동료, 상대, 심판, 지도자를 존중한다.
● 경기 종료 후, 승패와 상관없이 상대와 악수하고 심판에게 정중히 인사한다.
● 대표팀이 팀을 위해 내리는 결정을 존중하고 신뢰한다.
지도자
팀
우리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지도자로서 축구 관계자 모두를 신뢰하며 나라를 위해 희생하며 협력한다.
정신
우리는 투혼의 가치를 계승하는 사명을 가지고 용맹한 국가대표 선수를 양성하며 선수를 위해 끝까지 싸운다.
개인
나는 세계 수준의 대표선수 양성을 위해 운동장 안과 밖에서 끊임없이 연구하며 사회에 모범이 되는 지도자가 된다.
경기장 '안'
나는
● KFA 기술 정책을 숙지하고 이행한다.
● 언제, 어디서나 선수를 최우선으로 한다.
● 선수의 본보기로 정직하게 생활한다.
● 언제나 동료, 상대, 심판을 존중한다.
● 세계 수준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 연구한다.
● 절대 위협적인 언어를 쓰지 않는다.
기술 역량 강화: KFA 하이퍼포먼스 그룹
KFA HPG 설립 배경
과거와 비교하여 현대 축구는 새로운 전술이 나타나는 변화의 속도가 빨라졌으며, 전술적 다양성은 개인과 팀에게 높은 수준의 전술 수행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과 체력의 요구 수준 또한 함께 높아졌습니다. 이와 같이 축구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증가하면서, 선수와 팀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많은 국가와 팀이 '하이 퍼포먼스 부서(High Performance Department)' 또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Multidisciplinary Approach)'을 통해 개인과 팀의 경기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 역시 마찬가지로 성인 축구 대표팀과 연령별 대표팀 운영, 유소년 축구 지원, 지도자 육성 등 한국 축구의 경기력 강화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어느 한 분야의 급격한 성장이 전반적인 경쟁력 강화를 보장해주지 않기에, 거시적인 관점에서 결국 대한민국 축구의 경쟁력은 축구를 구성하는 모두가 서로에게 의지하며 강화해 나가야 하는 주제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축구 전문가들은 선수의 경기력뿐만 아니라 장기적 육성을 위해 하나의 그룹을 이룰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이것이 KFA 하이 퍼포먼스 그룹을 설립하는 배경이자 이유입니다.
KFA HPG 구조
KFA의 하이 퍼포먼스 그룹의 전문가 집단 구조는 크게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선수들과 함께하는 현장 전문가(practitioners)와 내부에서 연구 및 개발 역할을 하는 연구 그룹(in-house research group)을 포함합니다. 현장 전문가는 선수들과의 직접적인 소통 및 연구 결과의 실제 적용을 통해 경기력 극대화를 목표로 합니다. 반면, 연구 그룹은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만
들어 내고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현장 전문가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합니다. 뿐만 아니라, 세계 다양한 축구 협회/기관 및 해외 구단과 협업하며, 선수 경기력 관련 연구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기술철학을 이행하는데 이바지합니다.
KFA HPG 운영 방향
선수와 팀 경기력 향상 중심의 접근 | 다학제적 접근 | 자체 연구 개발과 현장 적용 |
전술, 기술, 체력, 심리와 그 하위 요소 | 지도자 및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결합 | 현장의 제안 및 연구 개발 착수 |
● 최고의 선수를 길러내고 대표팀의 경쟁력 강화를위해 다루어야 하는 분야를 연구 및 적용 | ● 더 나은 의사 결정을 위해 지도자의 경험과 직관, 우리의 신체 원리를 연구하는 스포츠 과학, 축구 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 | ● 모든 연구 및 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장을 향한 실질적 지원 ● 현장에서 요구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연구 및 개발에 착수하여 원리와 데이터를 제공 ● 이후 현장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지속적 발전을 추구 |
'축구 > 축구 국가대표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격 전환 국면: 정비되지 않은 상대 수비 조직 (0) | 2024.08.15 |
---|---|
수비 국면: 정비된 우리 수비 조직 (0) | 2024.08.15 |
수비 전환 국면: 정비되지 않은 우리 수비 조직 (0) | 2024.08.15 |
공격 국면: 정비된 상대 수비 조직 (0) | 2024.08.15 |